본문 바로가기

성인·순교자들

저 사람들은 큰 환난을 겪어 낸 사람들이다.
저들은 어린양의 피로 자기들의 긴 겉옷을 깨끗이 빨아 희게 하였다. (묵시 7,14)

전주교구사

성인·순교자들 전주교구사

1. 천주교 수용과 신앙공동체 형성

전라도지방에 천주교 신앙공동체가 형성된 것은 1784년 겨울, 한국천주교회 창설 직후였다. 호남에서 최초로 천주교 신앙을 받아들인 사람은 전주 초남(현 전북 완주군 이서면 남계리 초남리)에 살던 유항검(柳恒儉 아우구스티노, 1756~1801)과 그의 이종사촌으로 진산 장구동(현 충남 논산군 벌곡면 도산리 장고티) 출신인 윤지충(尹持忠 바오로, 1759~1791)이었다. 유항검은 호남의 대지주인데다가 덕망이 높아 사람들에게 존경을 받았다. 윤지충은 정약전 형제들과는 고종사촌 사이이고 한국천주교 창설의 주역인 이승훈, 이벽 등과는 인척 사이였다.

1780년을 전후하여 경기도 양근의 감호(현 경기도 양평군 강상면 대석리)에 사는 권철신과 그 제자들이 신학문인 천주교를 연구하고 있었다. 이러한 소식을 들은 유항검은 권철신을 찾아가 그곳에서 천주교 서적과 성상(聖像)을 접하였다. 1784년 9월(음), 권일신은 이벽과 함께 이승훈으로부터 세례를 받았었다. 유항검은 권일신에게서 교리를 배우고, 이승훈으로부터 세례를 받아 호남지방 천주교회의 주춧돌이 되었다. 유항검은 고향으로 내려가 복음을 전하여 초남리는 호남지방 신앙공동체의 요람이 되었다. 그는 가족과 친척 ․ 친지와 자기 집의 많은 노비들과 주민들을 입교시켰고, 전주 ․ 김제 ․ 금구 ․ 영광 등에 천주교를 전파하였다.

윤지충의 입교는 고종사촌인 정약전의 영향이 컸다. 그는 1784년 겨울, 상경하여 갓 영세한 정약전에게서『천주실의』,『칠극』등의 책을 구해다가 3년을 깊이 공부하고 1787년 정약전을 대부로 하여 이승훈에게서 세례를 받았다. 그는 귀가하여 외사촌 권상연(權尙然 야고보, 1751~1791)에게 자신이 독서한 두 권의 책을 공부하게 하여 세례를 주었다. 윤지충은 어머니와 형제, 그리고 그의 명성을 듣고 고산, 무장, 무안, 홍주(現在 홍성) 등지에서 찾아온 사람들에게 교리를 가르쳤다.

1786년 가을 한국교회의 지도급 신자들은 신자들의 신앙 지도와 효율적인 선교활동을 위해 중국교회의 교계제도를 본따 이른바 가성직제도(假聖職制度)를 설정하였다. 이때 유항검은 신부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그는 교회서적을 열심히 탐구하다가 가성직자들의 성사 집전이 독성죄가 된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1787년 이승훈에게 성사 집전을 중단토록 촉구하였다. 그 후에도 가성직단은 얼마동안 지속되다가 해체되었다. 한국교회는 1789년 10월 처음으로 북경교회에 윤유일을 밀사로 파견하였다. 그는 다시 1790년 7월에 파견되어 10월에 귀국했는데, 이때 구베아 주교가 한국교회에 보내는 사목교서를 가져왔다. 그 교서에는 성직자를 보내주겠다는 내용과 유교식 조상제사를 금한다는 내용이 명시되어있었다. 윤유일로부터 이 소식을 들은 유항검 ․ 윤지충 ․ 권상연은 신주를 폐기하였다.

당시 지식인 신자들은 한국교회 창설기부터 책을 통하여 이미 그 사실을 알고 있었지만, 교회 교도권자로부터 직접 명령을 받은 것이다. 그리하여 보유론적(補儒論的)입장에서 천주교 교리를 인식하고 믿던 양반층 신도들은 대부분 교회를 떠나고, 유교문화의 가치관과 윤리관에서 탈피한 신자들만 남게 되었다.

2. 박해와 순교

① 신해박해(1791)와 을묘박해(1795)

윤지충은 1791년 5월에 어머니가 돌아가시어 8월에 장례를 치렀는데, 교회의 명령과 어머니의 유언에 따라 유교의 성직자인 양반들에게 신앙화 된 유교식 제사의례를 거부하고 천주교식으로 장례를 치렀다. 조정은 윤지충과 그의 결정에 동조한 권상연의 행위를 조상제사가 상징하는 양반중심의 문화를 부정하고, 조선사회가 으뜸 가치로 존중하며 강조하던 효(孝)를 반대한 폐륜행위로 단정하여 극악무도한 윤리사범으로 처형하였다. 그들은 1791년 12월 8일(음 11월 13일) 오후 3시 전주 남문 밖(현재 전동성당 터)에서 참수형을 받아 한국 교회 최초의 순교자가 되었다. 이후 이들의 무덤은 2021년 전주 초남이 성지 바우배기에서 발견되었다.

1794년 북경주교는 조선 신자들의 요청에 따라 중국인 주문모 신부를 파견하여 1795년 1월 서울에 도착하였다. 주 신부는 4월(음), 전라도를 방문하여 고산 저구리(현 전북 완주군 운주면 저구리) 윤지헌 · 이존창의 집과 전주 유항검의 집을 방문하여 각각 몇 일 동안 머물며 성사를 집전하였다. 1795년 5월 12일 윤유일 ․ 지황 ․ 최인길이 체포되어 주 신부의 잠입을 주도하고, 숨겨준 죄목으로 처형되었다.

전동성당이미지: 전동성당
초남이 바우배기 이미지: 초남이 바우배기
② 신유박해(1801)와 정해박해(1827)

1801년 1월 10일 김대왕대비는 천주교에 대한 박해령을 내리고, 오가작통법(五家作統法)을 시행하여 천주교도 색출검거에 나섰다. 1월부터 2월까지 서울 ․ 경기 ․ 충청지방의 유수한 신자들이 처형되었는데, 3월 12일(음) 주문모 신부가 자수함에 따라 박해는 절정에 이르게 되었다. 3월부터는 박해의 손길이 전라도에까지 미쳐 전주 · 고산 · 금구 · 김제 · 무장(고창) · 흥덕 · 함평 · 무안 · 영광 등에서 200여명의 신자들이 체포되어 전주감영으로 끌려왔다. 이 박해로 전라도 신앙공동체는 초토화되었다.

맨 먼저 전라도의 사도 유항검이 체포되어 서울 포도청으로 압송되었다. 그리고 유관검, 윤지헌(尹持憲, 프란치스코), 김유산(金有山) 등이 서울로 압송되었다. 또한 이 사건과 무관한 한정흠(韓正欽,스다니슬라오), 김천애(金千愛, 안드레아), 최여겸(崔汝謙, 마티아)도 서울로 압송되었다. 이들은 형조와 의금부에서 사형판결을 받고 각자의 고향으로 이송되어 처형되었다. 그 까닭은 이들의 죽음을 목격한 고향사람들이 천주교를 믿지 못하도록 경각심을 주기 위한 전시효과를 노린 것이다. 한정흠은 7월 18일 김제에서, 최여겸은 7월 19일 무장 개갑장터(현재 고창군 공음면 갑촌)에서, 김천애는 7월 20일(혹 19일) 전주에서 참수형으로 순교했다.(해읍정법 該邑正法)

1801년 9월12일(양력 10.19) 유항검 ․ 유관검 ․ 윤지헌 ․ 이우집 ․ 김유산 등을 역적죄로 몰아 전주로 이송하여 처형토록 했다. 9월 17일(양력 10.24) 전주 풍남문 밖(현재 전동성당 터)에서 유항검 ․ 유관검 ․ 윤지헌은 대역부도죄로 육시형(戮屍刑)을, 이우집 ․ 김유산은 불고지죄(不告知罪)로 참수형을 받았다. 그리고 유항검의 머리는 풍남문 누각에 매달아 성문을 출입하는 사람들에게 전시하였다.

9월 15일(양력 10.22) 의금부의 명령에 따라 유항검의 나머지 가족이 연좌형으로 모두 전주 감옥에 갇혔고, 집은 헐어 없애고 연못을 파는 파가저택(破家瀦宅) 형이 내려졌다. 10월 9일(양력 11.14) 3월부터 전주 옥에 갇혀있던 유항검의 큰 아들 유중철(柳重喆, 또는 重哲, 요한, 1779~1801)과 둘째아들 유문석(柳文碩, 요한, 1784~1801)은 전주 옥에서 교수형으로 순교했다. 그리고 1801년 12월 28일(양력 1802. 1.31) 유항검의 처 신희(申喜), 유관검의 처 이육희(李六喜), 유관검의 아들 유중성(柳重誠,마태오), 이순이(李順伊,루갈다)가 숲정이에서 참수형으로 순교했다. 유중철과 이순이는 4년 동안 부부동정생활을 하다가 순교하였는데 훗날 다블뤼 주교는 이 부부를 조선 순교자들의 보석이라고 극찬하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신자들은 배교하여 석방되거나 귀양을 갔다. 신유박해 때 전라도에서는 20여명이 순교하고, 42여명이 귀양을 갔는데, 그 중 유항검의 어린 자녀 3남매와 윤지헌의 처와 그의 6남매도 연좌형(緣坐刑)으로 귀양을 갔다. 유항검을 비롯한 그 가족인 7인의 순교자들은 현재 전주 치명자산에 묻혀있다.

치명자산이미지: 치명자산
③ 기해박해(1839)

당시 조선은 정치적으로 정권을 잡은 풍양조씨 일파가 천주교에 우호적인 안동김씨 일파를 척결하려는 분위기였다. 그래서 1839(기해)년 조정에서는 4월부터 오가작통법을 실시하여 천주교 색출에 나섰다. 전라도는 4월부터 8월까지 진산 · 금산 · 용담 · 고산 · 광주에서 1백 여 명이 체포되어 전주 옥에 갇혔다. 1839년 3차에 걸쳐 사형이 집행되었다. 1차로는 1827년부터서 13년간 옥살이를 하던 김대권(金大權, 베드로), 이태권(李太權, 또는 성화, 베드로), 이일언(李日彦, 욥), 신태보(申太甫, 베드로), 정태봉(鄭太奉, 바오로) 등 5명이 5월 29일 전주 숲정이에서 참수형으로 처형되었다. 제2차로는 10월 12일 신요한․ 신 이냐시오 형제와 임베드로․ 박춘화․ 이독심이 매를 맞고 장사(杖死)했고, 송인원은 교수형으로 처형되었다. 제 3차로는 광주에서 체포된 홍재영(洪梓榮, 쁘로다시오), 이조이(막달레나), 최조이(바르바라), 오종례(吳宗禮, 야고버) 등이 11월 30일(양력 1840.1.4) 참수되었다. 홍재영의 며느리 심조이(바르바라)는 두 살 된 아들과 함께 10월 6일(양력 11.11) 옥중에서 병사했고, 김조이(아나스타시아)와 13세 된 딸 이봉금(아나스타시아)은 10월 혹은 11월경 옥중에서 교살되었다. 이들 외에 이춘화(베드로)가 11월 나주(羅州) 옥에서 순교하고, 고산에서는 박 바르바라와 어린 세 자녀가 옥에 있던 중 화재가 일어나 불타 죽었다.

④ 병인박해(1866)

대원군 치하에서 일어난 병인박해는 천주교 박해 중 가장 큰 박해였고 기간도 길어서 가장 많은 신자들이 목숨을 잃은 박해였다. 1866년 병인양요의 여파로 전라도에도 천주교 신자에 대한 박해가 일어나 전주와 여산, 나주에서 사형이 집행되었다. 정문호(바르톨로메오), 손선지(베드로), 한재권(요셉), 이명서(베드로), 조화서(베드로), 정원지(베드로), 조윤호(요셉)등 일곱 성인(聖人)은 12월 5일 체포되어 그중 여섯은 12월 13일 전주 숲정이에서 참수 순교했다. 그리고 조윤호는 12월 18일 전주 서천교 밑에서 장사(杖死) 순교했다. 이들 일곱 중 정문호․ 손선지․ 한재권․ 이명서 등 넷은 현재 천호성지(전북 완주군 비봉면 내월리 천호)에 묻혀있다. 1867년 전주에서는 김사집(필립보) 등 10명이 더 순교했는데 이때 남종삼 성인의 15세 된 아들 남명희(南明熙)와 홍봉주의 아들(성명미상)도 전주 초록바위에서 전주천(川)으로 밀어 넣어 수장시켰다. 그리고 여산에서도 2명이 순교하였다.

숲정이 성지이미지: 숲정이 성지

1868년(무진년) 5월(양력) 독일 상인이며 국제도굴범인 오페르트(Oppert)가 흥선대원군의 아버지 남연군(南延君)의 묘를 도굴한 사건이 일어났다. 이들의 소행으로 대원군은 어느 때보다 더 혹심하게 박해하여 고산․ 용담․ 금산에서 체포된 신도들이 여산 진영으로 끌려와 갇혔다. 이들 중 23명이 10~11월경(음) 처형되었다. 그중 15명은 고산 넓은 바위(현재 전북 완주군 동상면 은천리) 공소 신자들인데, 6명은 김성첨(토마스, 62세)의 일가족이었다. 순교자들은 대개 교수형, 또는 참수형으로 처형되었지만 얼굴에 물을 뿜고 백지를 몇 겹 발라 질식시켜 죽이는 ‘백지사형’(白紙死刑)도 집행되었다. 또한 1871년 신미양요 후, 1872년 나주에서도 3명이 순교하였는데, 정읍의 강영원(바오로)과 무장 암틔점(옹기점, 현재 전북 고창군 성송면 암치리) 교우촌의 유치성(안드레아), 장성의 유문보도 나주 포교에게 체포되어 나주로 끌려가 옥에 갇혔다. 유문보는 옥사하고 유치성과 강영원은 백지사형으로 순교하였다. 1868년 여산에서 순교한 9명의「실명 순교자」들은 병인년 순교성인 4명과 함께 천호성지에 묻혀있다.

전라북도 완주군 비봉면 천호성지길 124(전라북도 완주군 비봉면 내월리 905-1 ) 피정의집 TEL : 063-263-1004봉안경당 TEL : 063-262-1014

Copyright 2024 © 천호성지 피정의집 All rights reserved.